맨위로가기

하카타 종합차량사업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카타 종합차량사업소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신칸센 총괄 본부 관할의 차량 사업소이다. 1974년 신칸센 총국 하카타 종합 차량부로 발족하여, 산요 신칸센 차량의 정비 및 관리를 담당한다. 1987년 국철 분할 민영화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오카 지사 하카타 종합 차량소가 되었고, 2022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500계, 700계, N700계, N700S계 전동차를 비롯한 산요 신칸센 차량을 관리하며, 오카야마 지소와 히로시마 지소를 산하에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스가시의 교통 - 하카타미나미역
    후쿠오카현 나카가와시에 위치한 하카타미나미역은 하카타 종합차량사업소에 인접한 하카타미나미선의 종착역으로, JR 서일본에서 직영하며 하루 평균 14,000명 이상의 승하차 인원을 기록하는 역이다.
  • 가스가시의 교통 - 가스가역 (후쿠오카현)
    가스가역은 후쿠오카현 가스가시에 위치한 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의 역으로, 무인역으로 개업하여 선상 역사로 개축되었고, 현재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하루 평균 3,676명이 이용한다.
  • 가스가시의 건축물 - 미즈키 (유적)
    미즈키 유적은 7세기 후반 백강 전투 후 나당 연합군 침략에 대비하여 규슈 지역에 축조된 대규모 방어 시설로, 백제 유민의 기술력이 투입되었으며 토루와 해자를 갖춘 것이 특징이고 큐슈 북부 방어의 핵심 역할을 했다.
  • 가스가시의 건축물 - 하카타미나미역
    후쿠오카현 나카가와시에 위치한 하카타미나미역은 하카타 종합차량사업소에 인접한 하카타미나미선의 종착역으로, JR 서일본에서 직영하며 하루 평균 14,000명 이상의 승하차 인원을 기록하는 역이다.
  • 산요 신칸센 - 신칸몬 터널
    신칸몬 터널은 혼슈와 규슈를 잇는 총연장 18,713m의 산요 신칸센 해저터널로, 1970년 착공되어 1975년 개통되었으며, JR 서일본이 관리 및 운영하고, 터널 중간에는 일본 유일의 1000km 철도 표지판이 있다.
  • 산요 신칸센 - 신시모노세키역
    신시모노세키역은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에 위치한 JR 서일본의 산요 신칸센과 산요 본선 역으로, 1901년 이치노미야역으로 개업 후 1975년 산요 신칸센 개통과 함께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신칸센 승무원 훈련 센터가 병설되어 있고 화물 취급이 재개된, 연간 157만 명 이상이 이용하는 야마구치현 내 주요 역이다.
하카타 종합차량사업소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하카타미나미역 승강장에서 본 하카타 종합 차량 사업소 구내
하카타미나미역 승강장에서 본 하카타 종합 차량 사업소 구내
사업자서일본 여객철도
관할 지사신칸센 철도 사업본부
소속 약호간 하카 (幹ハカ)
부지 면적501,783
전기 차량 수1023
총 차량 수1023
비고2021년 4월 1일 기준 데이터, 부지 면적은 유가 증권 보고서 값
위치 정보
노선 정보
노선하카타미나미 선
이전 역하카타
이전 역 거리9
역사
개업일1974년 7월

2. 역사

1974년 4월 20일 신칸센 총국 하카타 종합 차량부가 발족[13]되었고, 같은 해 7월에는 하카타 종합 차량부가 개설[13]되었다. 초기에는 0계, 100계 전동차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1987년 4월 1일 国鉄分割民営化|국철 분할 민영화일본어에 따라 서일본 여객 철도(JR 서일본) 후쿠오카 지사 하카타 종합 차량소가 되었다.[23]

1990년 4월 1일 하카타미나미선하카타미나미역이 개업하여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1999년 8월 31일 환경 관계 국제 표준 규격 ISO14001을 취득하였고, 이후 신칸센 500계 전동차, 신칸센 700계 전동차, 신칸센 N700계 전동차 등 신형 전동차의 중정비 및 관리를 담당하게 되었다.

2006년 6월 23일 히로시마 신칸센 운전소(검수 부문)와 오카야마 신칸센 운전소를 각각 히로시마 지소·오카야마 지소로 통합하였다. 2007년 7월 1일 신칸센 관리 본부 발족에 따라 후쿠오카 지사에서 해당 본부 관할로 이행되었다. 2018년 6월 1일 신칸센 관리 본부가 개편되어, 본사 철도 본부 직속 신칸센 철도 사업 본부가 발족하여 해당 본부 관할이 되었다.[24] 2022년 10월 1일 신칸센 철도 사업 본부가 개편되어, 지방 기관인 산요 신칸센 총괄 본부가 발족하여 해당 본부 관할이 되었다.

2. 1. 초기 (1964년 ~ 1980년대)

1964년, 세계 최초의 고속철도인 도카이도 신칸센이 개통되면서 일본 경제 부흥의 상징이자 기술 발전의 쾌거로 평가받았다. 1974년에는 산요 신칸센의 핵심 정비 기지 역할을 수행하는 하카타 종합 차량소가 개설되었다.[13] 산요 신칸센하카타역까지 전면 개통되기 전 해였다.[13] 당시 일본국유철도(국철)에 의해 개설된 신칸센용 차량 기지로, 산요 신칸센에 부속된 유일한 종합 차량 기지였다.

개설 당시에는 산요 신칸센뿐만 아니라, 아직 계획 단계였던 규슈 신칸센의 차량 기지로도 이용될 것을 상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국철 분할 민영화에 의해 산요 신칸센과 (당 차량 사업소를 포함한) 관련 시설이 서일본여객철도(JR 서일본)에 승계되었고, 그 후 건설이 시작된 규슈 신칸센의 운영 주체는 규슈 여객철도(JR 규슈)가 되면서 규슈 신칸센의 차량 기지는 당 차량 사업소와는 별도로 설치되게 되었다.

1975년에는 산요 신칸센이 하카타역까지 전면 개통되었다. 초기 신칸센은 0계, 100계 전동차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하카타 종합 차량소의 초기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
1974년 (쇼와 49년)
1975년 (쇼와 50년)4월 - 대차 검사 시작[14][15]
1976년 (쇼와 51년)2월 - 전반 검사 시작[16][17]
1977년 (쇼와 52년)9월 - 912형 주요 부분 검사 시작[18]
1978년 (쇼와 53년)
1979년 (쇼와 54년)9월 - 935형 화차 전반 검사 시작[20]
1981년 (쇼와 56년)1월 - 전반 검사 2,000량 달성[21]
1983년 (쇼와 58년)7월 - 전반 검사 3,000량 달성[22]


2. 2. 발전기 (1980년대 ~ 2000년대)

1987년 4월 1일, 国鉄分割民営化|국철 분할 민영화일본어에 따라 하카타 종합 차량부는 서일본 여객 철도(JR 서일본) 후쿠오카 지사 하카타 종합 차량소가 되었다.[23] 1990년 4월 1일, 하카타미나미선하카타미나미역이 개업하여 하카타 종합 차량소의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1999년 8월 31일, 환경 관계 국제 표준 규격 ISO14001을 취득하였다. 이후 신칸센 500계 전동차, 신칸센 700계 전동차, 신칸센 N700계 전동차 등의 신형 전동차 중정비 및 관리를 담당하게 되었다.

2. 3. 현재 (2000년대 ~ 현재)


  • 2006년 (헤이세이 18년) 6월 23일 - 히로시마 신칸센 운전소(검수 부문)와 오카야마 신칸센 운전소를 각각 히로시마 지소·오카야마 지소로 통합하였다.
  • 2007년 (헤이세이 19년) 7월 1일 - 신칸센 관리 본부 발족에 따라, 후쿠오카 지사에서 해당 본부 관할로 이행되었다.
  • 2018년 (헤이세이 30년) 6월 1일 - 신칸센 관리 본부가 개편되어, 본사 철도 본부 직속 신칸센 철도 사업 본부가 발족하여, 해당 본부 관할이 되었다.[24]
  • 2022년 (레이와 4년) 10월 1일 - 신칸센 철도 사업 본부가 개편되어, 지방 기관인 산요 신칸센 총괄 본부가 발족하여, 해당 본부 관할이 되었다.

3. 노선

(요약에 따르면 신칸센은 일본 전역을 연결하는 광범위한 노선망을 갖추고 있다고 하지만,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관련 내용이 없고, 하위 섹션에는 건설 및 계획 중인 노선만 나와 있다. 따라서, 현재 섹션에는 작성할 내용이 없다.)

3. 1. 건설 및 계획 중인 노선

주오 신칸센 (건설 중)


도카이도 화물 신칸센


미에 신칸센


산인 신칸센


시코쿠 신칸센


시코쿠 횡단 신칸센


오우 신칸센


우에쓰 신칸센


주고쿠 횡단 신칸센


큐슈 횡단 신칸센


호쿠리쿠 주쿄 신칸센


홋카이도 미나미마와리 신칸센


히가시큐슈 신칸센

4. 등급

신칸센은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어, 이용객의 목적과 예산에 맞는 선택이 가능하다.

5. 차량

하카타 종합차량사업소에서는 신칸센 500계 전동차, 신칸센 700계 전동차, 신칸센 N700계 전동차의 중정비 및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이들 차량은 기술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도입된 신칸센 차량들이다.

이 외에도 신칸센 923형 전동차(닥터 옐로) 3000번대 7량 T5편성 1개가 배치되어 있다. 검사 업무는 JR 도카이에 위탁하여 시행한다.

5. 1. 현재 운행하는 차량


  • 500계 전동차 (48량)
  • 7000번대 8량 편성(V편성) 6개(V2 - V4, V7 - V9 편성)가 있으며, 산요 신칸센 내에서 코다마로 운행한다.[7]
  • 0번대 16량 편성(W편성) 9개(W1 - W9 편성)는 도쿄 직통 노조미에 우선 투입되었으나, 2007년부터 V편성으로 개조 및 단축되어, 2010년 2월 28일부로 노조미 운용과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에서 철수했다. V편성으로 개조되지 않은 W1 편성은 2014년 3월 28일에 전 차량 폐차되었다.
  • 700계 전동차 (128량)
  • 7000번대로 구성된 8량 편성(E편성) 16개(E1 - E16 편성)가 있으며, 산요 신칸센 전용으로 히카리 레일스타와 코다마로 운행한다.[8][9]
  • 3000번대 16량 편성(B편성, B1 - B15 편성)은 도카이도 신칸센 직통용으로 운용되었으나, N700계 16량 편성의 등장으로 2020년 3월 13일 정기 운용에서 이탈했다.
  • N700계 전동차·N700S계 전동차 (856량)[10]
  • N700A 4000번대 16량 편성(F편성) 24개(F1 - F24 편성), 3000번대에서 개조된 N700a 5000번대 16량 편성(K편성) 16개(K1 - K16 편성), 7000번대로 구성된 8량 편성(S편성) 19개(S1 - S19 편성), N700S계 3000번대 16량 편성(H편성) 5개(H1 - H5 편성)가 있다.
  • F편성·K편성·H편성은 주로 도카이도·산요 신칸센 직통의 노조미, 히카리 외에, 고쿠라 - 하카타 간의 코다마에서도 운용된다.
  • S편성은 2011년 3월 12일부터 산요·큐슈 신칸센의 미즈호, 사쿠라와 일부 히카리, 코다마로 운용되고 있다.

5. 2. 퇴역 차량


  • 0계[11]
  • : "히카리"용 16량 편성(N, NH, H)과 "웨스트 히카리"용 12량 편성(SK), "웨스트 히카리"・"코다마"용 6량 편성(R0 - R31, WR 편성: R51 - R54, R61 - R68), 4량 편성(R51 - R53, Q1 - Q6) 등 많은 편성이 배치되었다. 2008년 6월 이후에는 6량 편성 3개(R61, R67, R68)만 배치되었으나, 같은 해 11월 정기 운행에서 이탈, 12월 영업 운전을 종료하고, 2009년 1월 23일 전 차량이 폐차되었다. R61, R67, R68 편성은 영업 운전 종료 전 구도장으로 변경되었다.
  • 100계[11]
  • : 당초 3000번대 "그랜드 히카리"용 16량 편성 9개(V1 - V9)가 배치되었고, 1996년부터 1997년에 걸쳐 0번대 16량 편성 7개(G1 - G7)가 JR 도카이에서 전입했다. G 편성은 차체 편성 기호는 G였지만, 0계 NH 편성 운용을 대체했기 때문에, 신칸센 운행 관리 시스템(COMTRAC) 내에서는 "N 편성"으로 인식되었다. 이후 G 편성은 모두 폐차, V 편성은 "코다마"용 4량 편성 12개(P1 - P12)와 6량 편성 10개(K51 - 60)로 개조되었다. P 편성은 2011년 3월, K 편성은 2012년 3월 다이어 개정으로 영업 운전을 종료했다. K 편성 일부(K53 - 55)는 영업 운전 종료 전 구도장으로 변경되었다. 500계 W1 편성처럼, K54 편성 신오사카 방면 선두차인 6호차도 정비·재도장 후, W1 편성과 같은 날 하카타 종합 차량 사업소에서 반출되었다.
  • 300계[11]
  • : 3000번대 16량 편성(F1 - F9)이 배치되었다. 당초 주로 도쿄-산요 직통 "노조미"로 운용되었지만, 700계 등장 후 도쿄 - 오카야마 간 "히카리", 도쿄 - 신오사카 간, 오카야마 - 하카타 간 "코다마" 운용이 중심이 되었다. 2012년 3월 다이어 개정으로 100계와 함께 영업 운전을 종료했다. F1 - F6 편성은 도카이 여객철도 하마마츠 공장으로 폐차 회송되어 해체되었다.
  • 922형[11]
  • : 신칸센 전기 궤도 종합 시험차(닥터 옐로). 20번대 7량 T편성 1개(T3편성)가 배치되어 있었다. 2005년 9월 30일자로 폐차되어 배치가 없어졌다. 선두차(7호차·922-26)는 JR도카이가 개설한 리니어·철도관에서 전시(정태 보존)되고 있다.

하카타 종합 차량 사업소에 재적한 922형 T3편성

  • 912형 디젤 기관차[11]
  • : 본 구역에 배치되어 있었다.
  • 931형 화차[11]
  • : 신칸센 궤도 부지 내 밸러스트 살포용 호퍼차

5. 3. 기술 개발 차량 & 사업용 차량


  • 923형 (닥터 옐로) - 3000번대 7량 T5편성 1개가 배치되어 있다. 검사 업무는 JR 도카이에 위탁하여 전반 검사·대차 검사는 하마마츠 공장에서, 교번 검사는 도쿄 교번 검사 차량소에서 시행한다.
  • E926형 (이스트 아이)
  • WIN350

하카타 종합 차량 사업소에 보존되어 있던 500계 900번대 선두차

6. 운영 회사

현재 신칸센은 여러 JR 여객철도 회사가 분할 운영하고 있다.

7. 차량 기지

신칸센은 각 노선별로 주요 차량 기지를 운영하며, 차량 정비 및 관리를 담당한다. 하카타 종합차량사업소는 산요 신칸센하카타역까지 전면 개통되기 전 해인 1974년일본국유철도에 의해 개설된 신칸센용 차량 기지로, 산요 신칸센에 부속된 유일한 종합 차량 기지이다.

개설 당시에는 규슈 신칸센의 차량 기지로서도 이용될 것을 상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국철 분할 민영화에 의해 관련 시설이 서일본여객철도(JR 서일본)에 승계되었고, 이후 건설이 시작된 규슈 신칸센의 운영 주체는 규슈 여객철도(JR 규슈)가 되어, 규슈 신칸센의 차량 기지는 별도로 설치되었다.

하카타 종합차량사업소는 하카타역에서 남쪽으로 약 9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부지의 북쪽 절반은 후쿠오카현가스가시에, 남쪽 절반은 후쿠오카현 나카가와시에 걸쳐 있다. 1990년에는 하카타미나미선 하카타미나미역이 개설되어, 본 차량사업소로의 입출고 열차를 이용하여 영업 운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소에서는 전반 검사·대차 검사·교번 검사·시업 검사 및 ATC 특성 검사 등 각종 차량 검수를 실시한다. 착발선 21선, 조립·전류·통로선 9선, 검수고선 7선, 대차 진동선 2선, 차륜 연삭선 2선을 갖추고 있다.[2]

7. 1. 종합 차량소

신칸센 500계 전동차, 신칸센 700계 전동차, 신칸센 N700계 전동차의 중정비 및 관리를 담당한다.

7. 2. 차량 센터

신칸센 500계 전동차, 신칸센 700계 전동차, 신칸센 N700계 전동차의 중정비 및 관리를 담당한다.[2]

하카타 종합차량사업소는 신칸센 차량의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주요 시설 중 하나이며, 나가노, 나고야, 니가타, 도리카이, 도쿄, 모리오카, 미시마, 센다이 (가고시마 현), 아오모리, 아키타, 야마가타, 오무라, 오야마, 오이 등과 함께 이러한 역할을 수행한다.

7. 2. 1. 조직

하카타 종합차량사업소는 본소, 오카야마 지소, 히로시마 지소로 구성되어 있다.[2][3][4][5] 각 조직의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직위치주요 업무시설비고
본소후쿠오카현 나카가와시 나카바루히가시 2초메
(사무소 기준, 부지 일부는 가스가시에 걸쳐 있음)
전반 검사·대차 검사·교번 검사·시업 검사, ATC 특성 검사 등 각종 차량 검수착발선 21선, 조립·전류·통로선 9선, 검수고선 7선, 대차 진동선 2선, 차륜 연삭선 2선[2]총무과, 차량과, 기술과, 시험과, 설비과, 구내 운전과, 전차 센터, 대차 센터, 운용 센터, 하카타역 홈 파견소
오카야마 지소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기타구 기타나가세 혼마치신칸센 차량의 교번 검사, 시업 검사, 임시 검사, ATC 특성 검사[4]검수선 2선, 전철 유치선 14선오카야마 신칸센 운전소에서 분리, 차량 및 운전사·차장 배치 없음, 토지 일부는 JR 도카이 소유[3]
히로시마 지소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히가시구 (게이비선 야가역 북쪽)신칸센 차량의 시업 검사, 임시 검사, 히로시마역 발착 차량 야간 유치[5]검수선 2선, 유치선 8선, 시운전선 1선, 착발 수용선 9선히로시마 신칸센 운전소에서 분리, 과거 912형 디젤 기관차 배치, 현재 화차만 배치


7. 2. 2. 배치 차량

3000번대에서 개조된 N700a 5000번대 16량 편성(K편성),
7000번대 8량 편성(S편성),
N700S계 3000번대 16량 편성(H편성)856량[10]F편성·K편성·H편성은 주로 도카이도·산요 신칸센 직통 "노조미", "히카리" 외에, 고쿠라 - 하카타 간 "코다마"에서도 운용된다.
S편성은 산요·규슈 신칸센 "미즈호", "사쿠라"와 일부 "히카리", "코다마"로 운용된다.


과거 신칸센 전기 궤도 종합 시험차(닥터 옐로우) 20번대 7량 T편성 1개(T3편성)가 배치되었으나, 2005년 (헤이세이 17년) 9월 30일 폐차되었다.
과거 본 구역에 배치되었다.
과거 신칸센 궤도 부지 내 밸러스트 살포용 호퍼차가 배치되었다.

8. 기타

참조

[1] PDF 第34期有価証券報告書 46頁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 웹사이트 博多総合車両所の概要 https://web.archive.[...] 西日本旅客鉄道福岡支社
[3] 간행물 新幹線EX No.54 イカロス出版 2020-01-21
[4] 서적 山陽・九州新幹線ライン - 全線・全駅・全配線 講談社 2011
[5] 서적 山陽・九州新幹線ライン - 全線・全駅・全配線 講談社 2011
[6] 서적 JR電車編成表 交通新聞社 2021
[7] 학술지 「確認試験車」とはどのような車両なのか? イカロス出版
[8] 서적 JR電車編成表 交通新聞社 2020
[9] 서적 JR電車編成表 交通新聞社 2021
[10] 문서
[11] 서적 JR電車編成表 '06冬号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2] PDF JR東海博物館(仮称)展示車両 https://jr-central.c[...] 東海旅客鉄道プレスリリース 2009-07-24
[13] 서적 東海道 山陽新幹線二十年史 日本国有鉄道新幹線総局 1985
[14] 서적 東海道 山陽新幹線二十年史 日本国有鉄道新幹線総局 1985
[15] 문서
[16] 서적 東海道 山陽新幹線二十年史 日本国有鉄道新幹線総局 1985
[17] 문서
[18] 서적 東海道 山陽新幹線二十年史 日本国有鉄道新幹線総局 1985
[19] 서적 東海道 山陽新幹線二十年史 日本国有鉄道新幹線総局 1985
[20] 서적 東海道 山陽新幹線二十年史 日本国有鉄道新幹線総局 1985
[21] 서적 東海道 山陽新幹線二十年史 日本国有鉄道新幹線総局 1985
[22] 서적 東海道 山陽新幹線二十年史 日本国有鉄道新幹線総局 1985
[23] 서적 JR気動車客車情報 ジェー・アール・アール
[24] 뉴스 新幹線の安全性向上の取り組み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18-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